20대 첫 암보험, 갱신형 vs 비갱신형 어떤 게 유리할까? (보험료 30년치 시뮬레이션)

⚠️ 보험 및 금융 상품 관련 정보입니다

  • 본 내용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, 특정 보험 상품 가입을 권유하는 것이 아닙니다.
  • 보험료는 개인의 나이, 성별, 건강 상태, 보장 내용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.
  • 상품 가입 전 반드시 보험 약관을 확인하고 전문가와 충분히 상담하시기 바랍니다.
20대 첫 암보험, 갱신형 vs 비갱신형 3줄 요약 —
  • 갱신형: 시작은 저렴하지만, 정해진 주기(10년, 20년 등)마다 보험료가 계속 오릅니다. 소득이 불안정한 사회초년생의 단기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.
  • 비갱신형: 첫 보험료는 비싸지만, 정해진 납입 기간(20년, 30년 등) 동안 오르지 않고 만기까지 동일한 보장을 받습니다.
  • 20대 결론: 당장의 보험료가 조금 부담되더라도, 총 납입액과 장기적인 안정성을 고려하면 비갱신형이 압도적으로 유리합니다.
※ 출처: 보험다모아, 보험사 상품 약관 비교 분석.

갱신형 vs 비갱신형, 한눈에 비교하기

구분 갱신형 (Renewable) 비갱신형 (Non-renewable)
초기 보험료 저렴하다 상대적으로 비싸다
보험료 변동 갱신 시점마다 계속 인상됨 (나이, 위험률 반영) 납입 기간 내내 동일함 (오르지 않음)
총 납입 보험료 장기적으로 훨씬 많아짐 총액이 정해져 있어 예측 가능
유리한 대상 - 단기간 보장이 필요한 사람
- 초기 비용 부담을 줄이고 싶은 사람
- 안정적인 보장을 원하는 20~30대
- 장기적인 재무 계획을 세우는 사람

"월 1만원"의 유혹, 30년 뒤엔 얼마가 될까?

보험료 30년 납입 시뮬레이션 (25세 남성 기준, 예시)

사회초년생 A씨는 암보험 가입을 고민 중입니다. 갱신형은 월 15,000원, 비갱신형은 월 40,000원입니다. 당장 25,000원 차이가 크게 느껴져 갱신형을 선택하려 합니다. 과연 옳은 선택일까요?

  • 비갱신형 선택 시 (월 4만원 고정)
    총 납입액 (30년): 4만원 × 12개월 × 30년 = 1,440만원
  • 갱신형 선택 시 (20년 주기 갱신 예시)
    • 25세~44세: 1.5만원 × 12개월 × 20년 = 360만원
    • 45세~54세: (갱신 후) 5만원 × 12개월 × 10년 = 600만원
    • 총 납입액 (30년): 360만원 + 600만원 = 960만원

※ 위 시뮬레이션은 30년까지만 계산한 것입니다. 갱신형은 보장받는 기간(예: 100세)까지 계속 보험료를 내야 하고, 갱신 시 보험료는 훨씬 더 가파르게 오릅니다. 55세 이후까지 고려하면 총 납입액은 비갱신형을 아득히 뛰어넘게 됩니다.

20대에게 '비갱신형'이 정답인 이유

  1. 소득 상승기, 보험료는 고정: 20대는 앞으로 소득이 꾸준히 오를 가능성이 높습니다. 소득이 가장 적은 사회초년생 시기에 납입 능력을 기준으로 보험을 설계하고, 소득이 올라도 보험료는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입니다.
  2. '총 비용'의 압도적인 차이: 위 시뮬레이션처럼, 갱신형은 결국 더 많은 돈을 내게 되는 구조입니다. 건강하고 젊을 때 저렴하게 책정된 비갱신형 보험료로 '평생 보험료'를 고정시키는 것이 현명합니다.
  3. 은퇴 후 보험료 폭탄 방지: 갱신형 보험은 소득이 끊기는 60대, 70대에도 계속 오르는 보험료를 내야 합니다. 비갱신형은 경제 활동기에 납입을 끝내고, 은퇴 후에는 부담 없이 보장만 받을 수 있습니다.

암보험 갱신형 vs 비갱신형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그럼 갱신형 보험은 왜 있는 건가요?
A1. 70대 이상 고령층처럼 비갱신형 가입이 어렵거나 보험료가 매우 비싼 경우, 또는 특정 기간(예: 대출 상환 기간)에만 집중적으로 보장을 강화하고 싶을 때 유용할 수 있습니다. 20대의 첫 암보험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.

Q2. 비갱신형으로 가입했다가 중간에 해지하면 손해 아닌가요?
A2. 네, 모든 보험은 중도 해지 시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그래서 처음부터 본인의 소득 수준에서 무리 없이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보험료 수준으로 설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

Q3. 20대 암보험료, 평균적으로 얼마가 적당한가요?
A3. 정답은 없지만, 일반적으로 사회초년생은 월 소득의 5~8% 수준을 보험료로 책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. 암보험 외에 실손보험 등 다른 필수 보험도 고려하여 균형 있게 분배해야 합니다.

정보 출처

  1. 보험다모아 (금융위원회)
  2. 주요 생명보험사/손해보험사 상품 공시실

댓글 쓰기